이와 관련, 이재명 대표는 혁신기구와 관련한 권한을 김 교수에게 위임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이 대표는 오늘(16일)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혁신기구가 우리 당과 정치를 새롭게 바꾸도록 이름부터 역할까지 모든 것을 맡기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도부는 혁신기구 개혁안을 전폭 수용해 새롭게 거듭나는 민주당, 유능하고 강한 민주당, 이기는 민주당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혁신기구 활동이 공식화하면, 우선 관심은 혁신 위원 인선 작업에 쏠립니다.
현역 의원 일부가 혁신 위원으로 참여할지를 두고는 당 안팎의 해석이 엇갈리는 상황입니다.
만약, ‘친이재명계’로 분류되는 의원이 다수 포함될 경우 ‘비이재명계’를 중심으로 ‘친위대’라는 비판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반면, 현역 의원이 배제된 인선 작업에 대한 우려 역시 제기됩니다.
현실 정치 상황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외부 인사 위주로 꾸려질 경우 오히려 현실성이 떨어지는 방안들이 논의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는 겁니다.
혁신기구 역할과 권한 범위 등을 설정하는 과정에서도 갈등이 불거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우선, 이른바 ‘돈 봉투 의혹’과 김남국 의원의 ‘코인 논란’ 등으로 타격을 입은 민주당의 도덕성 회복이 최우선 과제라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대의원제 폐지 등 정치 개혁 안건과 관련해선 혁신기구가 어떤 결정을 내려도 계파 갈등의 도화선이 될 여지가 있다는 겁니다.
결국, 혁신과 함께 ‘통합’ 과제도 주어진 셈인데, 이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김 교수 인선과 관련해 “통합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개혁 성과를 만들어 낼 분을 찾는 게 쉽지 않았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당내에서는 혁신기구가 내년 공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쏠리지만, 이미 공천과 관련한 제도가 갖춰진 상황에서 혁신기구가 얼마나 기존 시스템을 바꿀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습니다.
혁신기구 활동 기한과 관련해서는 당내에선 ‘여름’ 안에 마무리될 거라는 전망이 많은데, 이 역시 혁신기구의 역할과 권한 범위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은 남아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