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뒷담] 금감원 내 ‘범정’ 신설… ‘눈 높은’ 원장 기대 부응할까-국민일보


금융감독원이 불공정거래 조사역량 강화 차원에서 신설한 ‘정보수집전담반’의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금감원 안팎에서는 해당 조직이 검찰 내 범죄정보기획관실을 떠올리게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내부에서는 눈 높은 이복현 금감원장의 기대에 부응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다.

금감원은 지난달 말 발표한 조직개편에서 조사 3개 부서 인력을 증원(70명→95명)하고 특별조사팀·정보수집전담반·디지털조사대응반을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이중 특히 관심을 모았던 건 정보수집전담반이었다. 금감원은 정보수집전담반이 온·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불공정거래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집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보수집전담반은 검찰의 범죄정보기획관실을 떠올리게 한다는 이야기가 많다. 소위 ‘범정’이라고 불리는 범죄기획관실은 공무원·정치인들에 대한 범죄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해 수사로 연결시키는 첩보·정보 조직이다. 검찰총장의 ‘눈과 귀’로 불리며, 각종 동향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범정’은 문재인정부 때 사찰 우려 등을 이유로 꾸준히 축소·격하됐지만, 최근 부활했다.

18일 금감원에 따르면 정보수집전담반은 반장을 포함해 약 4명으로 꾸려질 예정으로 아직 공식 출범하지는 않았다. 내부에서는 해당 조직에 배정되는 건 ‘모험’과 같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직접 현장을 찾는 등 정보수집만 전담으로 하는 조직을 금감원 내에 둔 건 처음이기 때문이다. 한 직원은 “소위 ‘맨땅에 헤딩’해야 하는 조직”이라며 “검사 출신인 이 원장의 눈높이에 맞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지도 관건”이라고 말했다.

금감원 안팎에서는 정보수집전담반의 정보수집 범위를 두고도 말이 많다. 대외적으로는 불공정거래 정보만 수집한다고 하지만, 결국 ‘범정’처럼 다방면의 첩보·정보를 수집해 원장에게 직보하는 역할을 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다만 금감원은 이 같은 확대 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국민일보 신문구독





Source link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