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하면 연봉 5% 인상 효과”라는 멤버십 나왔다-국민일보


8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신세계그룹 ‘신세계 유니버스 페스티벌’에서 이인영 SSG닷컴 대표, 강희석 이마트 대표, 전항일 지마켓 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연합뉴스

신세계그룹이 연회비 3만원으로 6개 계열사에서 5% 할인 혜택이 가능한 유료 통합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을 출시했다. 연간 최대 200만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고물가 시대에 ’유통 공룡’ 이마트가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유료 멤버십 서비스로 시장의 흐름을 바꿀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신세계그룹은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신세계 유니버스 페스티벌’을 열고 유료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의 혜택을 공개했다. 연회비 3만원으로 이마트,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면세점, 스타벅스, SSG닷컴, G마켓·옥션 등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6개 계열에서 구매금액의 5%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강희석 이마트·SSG닷컴 공동 대표는 “저희 멤버십을 잘 쓰면 연봉이 5%쯤 올라간다고 저희끼리 이야기할 정도”라며 “중위소득에 있는 분들에게 먹고 입는 문제만큼은 합리적인 대안이 있음을 명확히 전달해주는 게 멤버십의 혜택”이라고 말했다.

멤버십에 가입하면 신세계 6개 계열사에서 사용 가능한 3만원 상당의 캐시가 즉시 지급된다. 신세계그룹은 멤버십 혜택 확장을 위해 여러 분야의 기업과 협업을 추진 중이다. 당장 식품 업계 1위 CJ제일제당과 협업이 눈에 띈다. 신세계 유통 3사(이마트·SSG닷컴·G마켓)는 CJ제일제당과 파트너십을 맺고 공동으로 상품을 개발하기로 했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대한항공, KT그룹과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국내 유통업계 유료멤버십 서비스는 쿠팡과 코스트코가 시장을 선도해 왔다. 쿠팡은 배송비 무료를, 코스트코는 특색 있는 상품으로 차별화해 왔다. 국내 유통 대기업의 유료 멤버십은 이례적인 상황이다. 상품경쟁력을 확보한 대기업이 유료 멤버십 서비스로 소비자를 공략할 때 유통 시장의 판도가 바뀔 것인지 주목되는 상황이다.

이미 유료 멤버십 서비스는 소비자에게 익숙한 서비스가 됐다. 쿠팡의 ‘로켓와우’(월 4990원), 네이버의 ’네이버플러스’(월 4900원) 등은 각각 1100만명, 800만명의 회원을 확보한 상황이다. 통합 멤버십 출시가 시장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수진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은 “고물가 시대 가격이 민감한 소비자들에게 할인 혜택은 록인(잠금효과)을 해줄 수 있는 근원적인 요건이 될 수 있다”면서도 “기업이 할인 혜택에 대한 비용을 꾸준히 투입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쿠팡이 8년간 적자를 견디면서 최근 흑자로 전환하게 된 배경에도 가격 할인이 있다”고 말했다.

조정한 기자 jh@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국민일보 신문구독





Source link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